이산화염소(ClO2)가스 안전성 기준 및 증상 | ||||
No. | 대상 | 노출조건 | 관찰결과 | 출처 |
1 | 사람 | 0.1 ppm | Odour threshold and permissible exposure limit(0.1 ppm에서 냄새를 맡을 수 있음) TLV(Threshold limit value), 8-hr TWA(Time Weighted Avg, 8시간-장기 노출기준) |
5 |
2 | 사람 | 0.25 ppm | Moderate breathing illness | |
3 | 사람 | 0.3 ppm | Short-term limit exposure(STEL, 단기 노출기준) 단기노출기준(STEL)"은 1회에 15분간 유해요인에 노출되는 경우의 기준으로 이 기준 이하에서는 1회 노출간격이 1시간 이상인 경우 1일 작업시간 동안 4회까지 노출이 허용될 수 있는 기준을 말한다 |
5 |
4 | 사람 | 0.5 ppm | Mild irritation to the respiratory tract, present an immediate threat to life or health IDLH(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or health)란 30분 이내에 대피하면 건강 상에 영구적인 영향이 없는 것을 의미) |
6 |
5 | 사람 | >0.5 ppm | 눈, 목, 코 따가움(irritation to the eyes, throat and nose) 기침(cough) 천명(wheeze) 숨가뿜(shortness of breath) 기관지염(bronchitis) 폐부종(pulmonary edema) 두통(headache) 구토(vomiting) |
No. | 대상 | 노출조건 | 관찰결과 | 출처 | |
농도 | 기간 | ||||
1 | 쥐(rat) | 0.05 or 0.1 ppm | 6개월(24시간/일, 7일/주) | 전체 실험 기간 동안 ClO2와 관련된 독성 증상이 관찰되지 않음 몸무게 증가, 음식물 섭취, 관련 신체기관의 무게에서 특별한 차이점 관찰되지 않음 생화학검사, 혈약검사에서 ClO2 가스의 독성과 관련된 변화 보이지 않음 해부와 조직병리검사에서 호흡기관에서도 ClO2 가스 관련 독성이 관찰되지 않음 |
1 |
2 | 쥐(rat) | 260ppm | 2 시간 | Some rats died after the exposure | 2 |
3 | 쥐(rat) | 평균 0.05~0.3ppm | 10 주(5시간/일, 7일/주) | neither death nor any toxic signs were observed | 2 |
4 | 쥐(rat) | 32ppm | single exposure | lethal concntration 50% kill(LC50) value | 3 |
5 | 쥐(rat) | 1 ppm | 10 주(5시간/일, 5일/주) | 실험 중, 실험 후 독성효과를 보이지 않음. | 4 |
출처
1 "Six-month low level chlorine dioxide gas inhalation toxicity study with two-week recovery period in rats", Akamatsu et al.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and Toxicology 2012, 7:2
2 "Chlorine dioxide toxicity in animal experiments and industrial risks." AMA Arch Ind Health 1957;15; 101-7. Dalhamn T.
3 Dobson, 2002
4 "Ten-week whole-body inhalation toxicity study of chlorine dioxide gas in rats.", Ogata N, Koizumi T, Ozawa F, J Drug Metab Toxicol 2013; 4: 143.
5 OSHA Standards (Americ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6 U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2016